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고칼륨혈증(高칼륨血症, Hyperkalemia)은 혈액 내 칼륨(K)의 농도가 정상 범위(3.5-5.0 mEq/L)를 초과하여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. 칼륨은 신경과 근육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해질로, 특히 심장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. 고칼륨혈증은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.

     

    고칼륨혈증
    고칼륨혈증

     

    1. 원인

    고칼륨혈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1. 신장 기능 장애: 신장은 혈액 내 칼륨을 조절하는 주요 기관입니다. 신부전(신장 기능 저하) 등으로 인해 칼륨 배설이 감소하면 고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2. 약물: 일부 약물은 칼륨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칼륨 보존 이뇨제(스피로놀락톤 등), ACE 억제제, ARB(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) 등이 있습니다.
    3. 과도한 칼륨 섭취: 드물지만, 칼륨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과다 섭취할 경우 고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4. 세포 내 칼륨의 방출: 조직 손상(외상, 화상, 근육 파괴 등)으로 인해 세포 내 칼륨이 혈액으로 방출되면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  5. 대사성 산증: 산증 상태에서는 칼륨이 세포에서 혈액으로 이동하여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.
    6.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증상

    고칼륨혈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• 근육 약화
    • 피로
    • 무기력감
    • 심장 리듬 이상(부정맥)
    • 심박수 감소(서맥)
    • 심한 경우 심정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진단

    고칼륨혈증은 혈액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혈청 칼륨 농도가 5.0 mEq/L 이상일 때 고칼륨혈증으로 진단됩니다.

    4. 치료

    고칼륨혈증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,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:

    1. 칼륨 섭취 제한: 식이 요법을 통해 칼륨 섭취를 줄입니다.
    2. 칼륨 배설 촉진: 이뇨제 등을 사용하여 신장을 통해 칼륨 배설을 촉진합니다.
    3. 약물 조절: 칼륨 수치를 높이는 약물을 조절하거나 중단합니다.
    4. 칼륨 제거: 중탄산나트륨, 칼슘 글루콘산 등의 약물을 사용하거나, 중증의 경우 혈액 투석을 통해 칼륨을 제거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5. 예방

    고칼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혈액 검사와 함께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하고, 칼륨 섭취를 조절하며,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6. 합병증

    1. 심장 합병증
      • 부정맥(심장 리듬 이상): 고칼륨혈증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영향을 미쳐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심박수가 불규칙해지거나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느려질 수 있습니다.
      • 심실세동: 심실세동은 심장의 심실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상태로, 혈액을 효과적으로 펌프 하지 못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.
      • 심장마비: 심각한 고칼륨혈증은 심장의 전도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쳐 심장마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
    2. 근육 마비
      • 근력 약화: 고칼륨혈증은 근육 기능을 저하시키며, 특히 팔다리의 근육 약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전신 마비: 심한 경우 근육 마비가 전신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.
    3. 신경계 합병증
      • 감각 이상: 손발 저림, 무감각, 찌릿한 느낌 등의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신경통: 일부 환자는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신경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    4. 소화기 합병증
      • 복통: 고칼륨혈증은 장의 근육에도 영향을 미쳐 복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변비 또는 설사: 장운동의 변화로 인해 소화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5. 호흡기 합병증
      • 호흡 곤란: 근육 마비가 호흡 근육에 영향을 미칠 경우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